심근염 심낭염 증상(+화이자 백신)

반응형

코로나 백신 접종이 빠른 속도로 이루어져, 현재 1차 접종률이 80%에 가까워졌다고 합니다. 최근에는 2030 젊은 나이대의 분들이 주로 접종을 받고 있는데요. 오늘은 화이자, 모더나와 같은 mRNA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발생할 수 있는 심근염, 심낭염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.

심근염/심낭염이 무엇인가요?

심근염: 심장의 근육에 발생한 염증입니다.

심낭염: 심장을 둘러싼 막에 생긴 염증입니다.

미국에서 코로나 백신 접종 후 심근염 혹은 심낭염이 발생했다는 사례가 드물게 보고되고 있습니다. 환자들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.

- 주로 남자 청소년과 젊은 연령층의 남자에서 발생

- mRNA 코로나 백신 접종 후 발생했으며, 1차보다 2차 접종 후 더 많이 발생

- 일반적으로 백신 접종 후 수일 이내에 발생

- 대부분의 환자는 치료와 휴식 후 빠르게 호전되었고, 호전된 후 정상적인 일상 활동이 가능했음

어떤 백신 접종 후에 발생하나요?

mRNA 코로나 백신인 화이자, 모더나 접종 후 발생이 보고되고 있습니다.

반응형

mRNA 백신이란, 바이러스의 유전 정보가 담긴 mRNA를 예방 접종을 통해 인체에 주입함으로써 체내에서 항원(바이러스 단백질)이 생성되도록 하고 면역체계가 항체라는 지원군을 만들도록 유도하는 방식입니다.

심근염/심낭염 의심증상은 무엇인가요?

① 가슴통증

② 심장 두근거림(심장 박동이 빠르게 뛰거나 불규칙한 증상)

③ 호흡곤란(심장 기능 저하의 원인으로 발생)

④ 특징적인 가슴 통증

- 숨을 깊게 들이마실 때, 기침을 할 때, 자세를 바꿀 때, 몸을 뒤로 젖힐 때 발생하거나 증세가 악화.

- 몸을 앞으로 숙일 땐 통증이 완화되는 특징이 있음.

Q. 1차 접종 후 심근염/심낭염이 발생한 경우, 2차 접종을 받아도 되나요?

첫 번째 mRNA 코로나 백신(화이자, 모더나) 접종 후 심근염, 심낭염 발생이 확인된 경우는 추후 안전성에 대한 근거가 마련될 때까지 코로나 백신 접종을 연기해야 합니다.

코로나 예방접종 후 주의사항은?

반응형

① 예방접종 후 15~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반응 관찰

② 귀가 후 3시간 이상, 이후 3일 정도 건강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

③ mRNA 백신 접종 후 일주일 정도는 고강도 운동 및 활동, 음주 자제

④ 접종부위 부기, 통증 등의 증상이 2일 이상 지속되거나, 평소와 다른 신체증상 발생 시 반드시 의사 진료

⑤ 숨쉬기 곤란하거나 심하게 어지러운 경우, 심한 알레르기 증상이 있는 경우, 의식이 없거나 쓰러진 경우는 즉시 119 신고 또는 응급실 내원

반응형

댓글

Designed by JB FACTORY