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2년 출산혜택 안내(+출산지원금 임산부혜택)
- 정보
- 2021. 12. 8.
2022년 출산 혜택 안내(+출산지원금 임산부 혜택)
2022년 출산 혜택에 대한 변경내용은 2022년 1월부터 적용됩니다.
1. 출산지원금
■ 출산지원금 금액
먼저 출산 혜택 중 출산지원 금액에 대해서 알려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.
- 2021년: 한 자녀 임신 > 60만 원 / 다자녀 임신 > 100만 원
- 2022년: 한 자녀 임신 > 100만 원 / 다자녀 임신 > 140만 원
2021년보다 2022년 한 자녀 및 다자녀 임신에 대한 지원 부분이 더욱 추가되어 달라졌습니다.
■ 출산지원금 사용기간
- 2021년: 출산(유, 사산) 이후 1년 내
- 2022년: 출산(유, 사산) 이후 2년 내
2021년보다 2022년이 1년 더 추가되어, 사용기간이 2년이 되었습니다.
■ 지원 항목
지원금액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내역을 알려드립니다.
- 2021년: 임신, 출산과 관련된 진료비 및 약제, 치료재 구입비
- 2022년: 모든 진료비, 약제 및 치료재 구입비
2021년은 임신과 출산에 대한 부분으로 제한되어 있었다면, 2022년부터는 모든 진료에 대한 부분으로 확대됩니다. 또한 추가적으로 영유아의 경우 기존 1살 미만까지 진료비 및 약재, 치료재 구입비를 지원했으나, 2022년부터 2살 미만까지 확대됩니다.
2. 2022년 출산 혜택
■ 첫 만남 꾸러미
1) 건강보험 임신 출산 진료비 바우처 60만 원 > 100만 원 확대, 다태아 140만 원, 분만취약지 20만 원 추가 2) 아동 1명당 출생 시 바우처 200만 원 (일시금)
예를 들면, 아이 1명당 임신 출산 진료비 바우처 100만 원을 받고, 출생 바우처 200만 원을 받게 되므로, 총 300만 원 지원받게 되는 시스템입니다.
[바우처 100만 원 + 출생 바우처 200만 원 = 총 300만 원 지원]
■ 영아 수당
1) 0~1세 영아 수당 신규 도입
2) 2022년도 출생아부터 30만 원 지급하며, 단계적으로 인상하여 2025년까지 월 50만 원 지급 예정이며, 이것은 아동수당, 양육수당과 상관없이 별개로 지급되는 부분입니다.
■ 육아휴직 급여 (보편적 육아휴직 사용문화 정착)
1) 부모 모두 3개월 + 3개월 육아휴직 급여 신설 도입 생후 12개월 내 자녀가 있는 근로자인 부모가 모두 육아휴직 사용 시 적용됩니다.
2) 육아휴직 급여에 대해서
① 통상임금의 50% > 80%, 최대 월 120만 원 > 150만 원 지원② 우선 지원대상 기업 육아휴직지원
추가적으로 육아휴직 지원금 3개월간 월 200만 원, 이후에는 30만 원 지원됩니다. 그리고 생후 12개월 내 자녀가 있는 근로자가 3개월 이상 육아휴직 사용 시 적용이 됩니다.
3) 중소, 중견기업 육아휴직 세액공제
①육아휴직 근로자 연간 인건비의 5~10% > 15~30% 확대 6개월 이상 육아휴직 후 복직하여 1년 이상 고용, 유지 시 가능합니다.
4) 일하는 모두의 육아휴직 권리 확립
여성, 대기업 근로자 > 남성, 고용보험 가입 특고, 예술인, 플랫폼 노동 종사자, 프리랜서, 자영업자 등 모든 취업자로 확대됩니다.
■ 다자녀 가구 주거 교육 지원 확대
1) 주거지원 시, 다자녀 기준을 2자녀로 확대
일정 소득 이하 3자녀 이상 가구 셋째 자녀부터 등록금 전액 지원 (2022년~)됩니다. 기준을 보면, 중위소득 200% 이하, 2022년 4인 기준 9,498,348원입니다.
2) 다자녀가구 전용 임대주택 2.75만 호 공급 (21~25년)
3. 2022년 임산부 혜택
■ 보건소 임산부 혜택
임신 확인증을 가지고 보건소 방문할 경우, 엽산, 철분제, 임산부 배지, 차량스티커, 기형아 검사 쿠폰, 산후 영양제 등 제공합니다. 단 지역마다 차이가 있으니 해당 보건소에 문의하여야 합니다.
■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지원사업
신청일 기준 임산 부거나 출산 후 1년 이내인 산모는 친환경 농산물 지원사업 신청이 가능합니다.
1) 구제적인 지원내용
12개월간 1인당 48만 원 상당의 친호나경 농산물 꾸러미를 지원받을 수 있으며, 정부 (38만 4,000원)와 본인부담금 (9만 6,000원)이 나누어져 있습니다.
2) 신청방법
온라인 신청 및 해당 읍면동 또는 구청을 방문해 신청하시면 됩니다.
■ 맘 편한 임신 서비스
엽산제, 철분제 등 임신지원 서비스를 한 번에 통합해 신청하는 서비스가 있습니다.
4. 마무리
2022년 출산 혜택이 달라집니다. 잘 알아보시고, 혜택을 누리시길 바랍니다.
⏬⏬아래에서 더욱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⏬⏬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방역패스란(+백신패스 조건 뜻) (0) | 2021.12.17 |
---|---|
에디슨ev 주가(+주가전망 쌍용 자동차) (0) | 2021.12.17 |
그해 우리는 알아보기(+소개 웹툰 넷플릭스 등장인물 이나은) (0) | 2021.12.08 |
스마트폰 TV 연결 방법은 어떻게?(3가지 방법) (0) | 2021.11.23 |
넷플릭스 지옥 관련주(+제이콘텐트리 스튜디오산타클로스 네이버 덱스터) (0) | 2021.11.20 |